Editor's Letter
안녕하세요. 님! 어느덧 2025년 상반기의 마지막 달인 6월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7월에는 브이피피랩이 한국풍력산업협회 주관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 에 참여합니다.
이 자리에서 발전사업자분들께 꼭 필요한 실시간시장 입찰 참여 절차와 브이피피랩의 입찰 솔루션 'flow-V' 를 소개 예정입니다.
하반기에도 브이피피랩은 재생에너지 확산이라는 사명을 향해 더욱 힘차게 나아가겠습니다!
|
|
|
🔊 전시회 소식
실시간시장 입찰 참여 절차,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에서 소개
- 재생에너지 실시간시장 입찰제도, 브이피피랩을 통한 쉽고 효율적인 참여 방안 제시
📰 이달의 에너지 소식
1. 국내 최대 규모, ‘제주북촌 전력저장발전소’ 착공
2.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 '에너지고속도로' 2030년 개통 본격 추진
3. 전기차가 전력 공급원으로! 대한민국, V2G 선도 국가로 도약
|
|
|
실시간시장 입찰 참여 절차, '2025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에서 소개 |
|
|
재생에너지 실시간시장 입찰제도, 브이피피랩을 통한 쉽고 효율적인 참여 방안 제시 |
|
|
브이피피랩이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 전시회' 에 참가합니다.
7월 2~3일, 부산 BEXCO에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해상풍력 산업의 최신 동향과 공급망 분류체계를 다루는 컨퍼런스와 전시회가 동시에 진행됩니다.
브이피피랩은 전시부스 D06-D08에서 여러분을 만나뵙겠습니다!
* 운영 시간: 오전 10시 ~오후 5시
무엇을 소개하나요?
브이피피랩은 이번 전시회에서 2026년부터 단계적으로 전국으로 확대될 재생에너지 실시간시장 입찰제도에 대비해 해상풍력 발전사업자분들을 위한 간편하고 효율적인 입찰 참여 솔루션을 소개합니다.
발전량 예측부터 입찰까지 실시간 운영 체계를 통해 발전소의 운영 효율성과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사업개발의 초기 단계부터 브이피피랩이 함께하겠습니다.
|
|
|
1. 국내 최대 규모, ‘제주북촌 전력저장발전소’ 착공 |
|
|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인 '제주북촌전력저장발전소' 착공식이 지난 9일, 제주 북촌리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 사업은 한국동서발전, 에퀴스에너지코리아, 제주에너지공사, LG에너지솔루션이 공동으로 추진하며, 2023년 저탄소 중앙계약시장을 통해 선정된 프로젝트입니다.
BESS는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전력 수요가 높은 시간대에 공급하는 설비로, 제주북촌 BESS는 140MWh 규모의 배터리를 통해 약 400가구가 한 달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준공은 오는 11월 예정이며, 이후 15년간 제주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출력제어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일렉트릭파워, 이재용 기자) |
|
|
2.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 '에너지고속도로' 2030년 개통 본격 추진
|
|
|
정부가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 전환을 가속화하며,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에 본격 나섰습니다.
핵심 사업은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한 ‘서해안 HVDC망’입니다. 총 620km 구간에 약 7.9조 원을 들여 호남의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으로 고효율로 전송하는 초고압직류송전망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RE100 산업단지 조성, 해상풍력 확대,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도 함께 추진하며, 재생에너지 설비는 2038년까지 121.9GW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또한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실용적 공존’을 통해 합리적인 에너지 믹스를 구현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지역 균형 발전과 에너지 안보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출처:SDG뉴스, 서욱 기자) |
|
|
3. 전기차가 전력 공급원으로! 대한민국, V2G 선도 국가로 도약 |
|
|
정부가 친환경차 확대와 재생에너지 보완을 위해 V2G(Vehicle-to-grid) 도입을 추진 중입니다.
2018년부터 법적기반을 마련하고, 제주도를 중심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상용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 SK렌터카, 중부발전 등은 제주에서 충전 인프라 구축과 전력 거래 모델 실증에 나서고 있으며, 제주에너지공사도 전기버스 전력 양방향 거래 기술(V2G 버스)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전기차 보급률이 높아 V2G 활용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분산에너지특구 지정을 통해 P2H(열 전환), 수소 생산 등과 함께 V2G를 핵심 인프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V2G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VPP(통합발전소)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제주에너지공사는 이를 활용한 통합 플랫폼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다양한 에너지원 통합 운영과 전력시장 참여를 통해 공급 효율성과 사용자 혜택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입니다.
(출처: 전기신문, 김재웅, 강수진 기자) |
|
|
(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330, A동 107호
(서울)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68, 팁스타운 S6 502호
|
|
|
|
To deliver clean, renewable energy when and where it's needed most.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