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Letter
님, 선선한 가을 바람이 완연한 9월의 끝자락입니다. 🍂
무더운 여름을 잘 마무리하고, 가을의 시작을 차분히 즐기고 계신가요?
이번 9월 뉴스레터에는 브이피피랩이 한 달 동안 이뤄낸 성과와 새로운 소식들을 담았습니다.📬
다가오는 10월에도 저희 브이피피랩은 에너지로 더 깨끗한 내일을 만들어가겠습니다. ✨
|
|
|
🔊 전시회 소식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탄소중립 EXPO 참가
- 재생에너지 예측 기술 및 실시간 시장 운영 성과 소개
📢 외부 행사
분산에너지 시대 - RE100 성공을 위한 실무 세미나 발표
- 분산에너지와 전력신산업, 가상발전소(VPP)융합 사업화 전략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발표
- 에너지 플랫폼의 역할과 정책 변화에 따른 시스템 전환의 필요성
2025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박람회 RE100 포럼 발표
- 국내 VPP 사업과 제주 실시간 시장 및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2025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 with 글로벌 분산에너지 포럼 발표
📪 내부 소식
JDC 싱가폴 경영대학(SMU) 방문 프로그램
- 제주 대표 ESG 기업으로서 플랫폼 비전 및 성과 공유
2025년 신재생에너지센터 RE-START 프로그램
📰 이달의 에너지 소식
1. 독일의 태양광 정책이 남긴 교훈
2. 재생에너지 급격한 확산..."전력 실시간·보조서비스 시장 도입 필요"
3. 변화의 초석,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기대
|
|
|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탄소중립 EXPO 참가 |
|
|
재생에너지 예측 기술 및 실시간 시장 운영 성과 소개 |
|
|
브이피피랩은 지난 달 부산 BEXCO에서 열린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탄소중립 EXPO'에 참가해 주력 솔루션인 flow-V와 실시간 전력시장·재생에너지 예측, RE100 솔루션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또한, ‘탄소중립 신기술·제품 우수사례’ 기업으로 선정되어 정주현 부대표가 전략 시장 변화와 flow-V의 전국 최다 계약 실적, 그리고 RE100 성과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
|
|
분산에너지 시대 - RE100 성공을 위한 실무 세미나 발표
|
|
|
분산에너지와 전력신산업, 가상발전소(VPP)융합 사업화 전략 |
|
|
9월 2일, 산업교육연구소가 주관한 '분산에너지 시대 - RE100 성공을 위한 실무 세미나'에서 정주현 부대표가 연사로 참여해 '분산에너지와 전력신산업, 가상발전소(VPP)융합 사업화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온라인 오프라인 동시에 진행된 본 세미나는 발전사, 수요기업, 금융권 관계자 등 다양한 분야의 실무 담당 약 50여 명이 참여했으며, 브이피피랩은 현장에서 VPP 기술과 PPA 연계 방안을 공유하며 기업의 효율적 RE100 달성을 위한 실무 인사이트를 제공했습니다. |
|
|
에너지 플랫폼의 역할과 정책 변화에 따른 시스템 전환의 필요성 |
|
|
9월 4~6일, 제주에서 열린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에 브이피피랩의 박홍익 이사가 연사로 참여해 VPP 사업과 에너지 플랫폼의 역할, 정책 변화에 따른 시스템 전환 필요성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이어 국내외 기후·AI 전문가와 함께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과 기후기술 혁신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
|
2025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박람회 RE100 포럼 발표
|
|
|
국내 VPP 사업과 제주 실시간 시장 및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
|
|
9월 10일 군산 새만금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박람회’에서 차병학 대표가 '국내 VPP 사업과 제주 실시간 시장 및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국내 VPP 산업의 현황과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의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참석자들과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가기도 하였습니다.
|
|
|
2025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 with 글로벌 분산에너지 포럼 발표
|
|
|
9월 24일부터 26일까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 with 글로벌 분산에너지 포럼'에서 차병학 대표가 '재생에너지 전력믹스의 미래 : 제주에서 시작하는 세 가지 이야기' 세션에 패널로 참여해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포럼에서 브이피피랩은 제주형 분산에너지 확산과 발전 방안에 대해 함께 논의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하였습니다.
|
|
|
JDC 싱가포르 경영대학(SMU) 방문 프로그램
|
|
|
제주 대표 ESG 기업으로서 플랫폼 비전 및 성과 공유 |
|
|
9월 4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주관한 '싱가포르 경영대학(SMU) 방문 프로그램'에 브이피피랩이 제주의 대표 ESG 기업으로 초청되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비전과 전력거래 플랫폼을 소개했습니다.
JDC의 주요 사업, ESG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제주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자리였으며, 브이피피랩은 재생에너지 활용 플랫폼 서비스 스타트업의 성공 사례를 싱가포르 경영대학 관계자들에게 설명하고 해외 진출에 대한 계획 역시 공유했습니다.
행사에 참석한 싱가폴의 대표 전력시장 운영기업 EMC와도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며 글로벌 ESG 리더십을 확인했습니다.
|
|
|
2025년 신재생에너지센터 RE-START 프로그램
|
|
|
9월 12일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RE-START 프로그램’ 일환으로 브이피피랩 제주 본사를 방문한 관계자 20여 명을 맞이해 VPP 사업, 에너지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제주 실시간 전력시장 운영 경험을 소개했습니다.
재생에너지 정책과 현장 운영을 주제로 활발한 Q&A를 진행하며 국내 재생에너지 선도 기업으로서의 역량을 보여주었습니다.
|
|
|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8년까지 태양광 발전을 77.2GW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이 계획이 실현될 경우 재생에너지 간헐성 문제가 더욱 크게 대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일pwc에서 최근 발간한 산업리포트 “독일의 태양광 정책이 남긴 교훈, 일본·한국의 대응 전략 방향성” 은 태양광 확대에 따른 문제점과 이를 먼저 경험한 독일의 대응 방향성을 검토하고, 보조금 제도 및 전력망과 시장참여자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미래 재생에너지 간헐성과 관련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살펴봅니다.
(출처: 삼일pwc Industry Focus, 2025.8.) |
|
|
2. 재생에너지 급격한 확산…“전력 실시간·보조서비스 시장 도입 필요”
|
|
|
신재생에너지 설비 4년간 81% 증가, 발전량도 11% 넘어 ‘실시간 시장 도입 필요’
재생에너지 발전이 급격히 늘면서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장 구조도 하루전시장에서 실시간시장으로 바꾸고 이와 함께 보조서비스시장도 활성화 해야 한다는 진단입니다.
본 기사는 전력시장감시위원회가 최근 발간한 '2024 전력시장 분석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루전시장의 현 제도를 실시간시장, 보조서비스시장 등으로 구성된 해외의 일반적인 표준 시장구조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시장 제주 시범사업을 토대로 전력시장 제도개선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 강조합니다.
(출처: 에너지경제, 이원희 기자) |
|
|
3. 변화의 초석,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기대 |
|
|
정책 패러다임 근본적으로 바꾸는 잠재력 지닌 핵심 법안
단순한 에너지 정책을 넘어, 지역 균형 발전과 신산업 창출을 견인하는 국가적 과제로서 접근해야
2024년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은 한국 에너지 정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잠재력을 지닌 핵심 법안입니다. 중앙집중형 체계의 경직성을 탈피하고, 수요지 인근에서의 에너지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담고 있습니다.
통합발전소(VPP) 법제화, 지역별 전기요금제 등 법안의 핵심 제도를 소개하고, 하위 법령의 신속하고 투명한 구체화, 분산자원의 유연성 가치를 보상하는 전력시장 구조 개편 등 특별법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핵심 전략들을 소개합니다.
(출처: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
|
|
(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330, A동 107호
(서울)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68, 팁스타운 S6 502호
|
|
|
|
To deliver clean, renewable energy when and where it's needed most.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