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재생에너지 #플랫폼 #flow-V #소개 Monthly #52, November 2024 |
|
|
안녕하세요.
님
다가오는 연말, 깊어져가는 겨울, 올해의 마지막 달인 12월이 다가왔습니다 ❄️
12월은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게 에너지를 충전하는 편안한 달 되세요! 🎅🏻🎄
2025년 새해에는 모두에게 더 큰 기쁨과 행복이 기다리고 있길 바랍니다.
11월에 브이피피랩은 다양한 해외 박람회와 새로운 계약, 신규 파트너십들과 함께
바쁘지만 더욱 성장할 수 있었던 한달을 보냈습니다.
그럼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자세히 살펴볼까요?
- 마케팅팀 수지 |
|
|
전시 소식
✅ 스페인 '2024 세계스마트시티 엑스포' 참가
✅ '2024 Korea ICT Expo in Japan' 참가
✅ '제주지역 성장사다리 지원사업 성과전시회' 전시
수상 소식
✅ 제주 산업발전포럼 도지사상 수상
내부 소식
✅ 월령리 브이피피랩 ESS 발전소 설치 예정
|
이달의 에너지 뉴스
1. 한전, 배전망운영자(DSO) 출범...전력망 유연성 강화
2. 대전환기 맞은 전력 산업…AC(교류) 아닌 DC(직류)가 대세
3. 2050년 RE100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 |
|
|
스페인 '2024 세계스마트시티 엑스포'
참가 |
|
|
브이피피랩이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박람회인 '2024 세계스마트시티 엑스포'에 참가했습니다.
📅 2024년 11월 5~7일
📍 스페인 바로셀로나, Fira Gran Via
"스마트시티 엑스포를 들어보셨나요?"
올해로 14주년을 맞이한 스마트시티 엑스포는 세계 140여 개국에서 800여개 이상의 기업과 관이 모여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하고 있어요.
무엇보다, 스페인은 풍력 발전이 전체 발전량 중 1위로 유럽내에서도 재생가능한 에너지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 중인 나라인데요. 이런 배경이 있어서인지, 재생에너지 통합 관리 플랫폼 flow-V에 기업 관계자분들이 많은 관심을 보여주셨습니다.
자세한 현장 스케치가 궁금하시다면 브이피피랩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세요 :) |
|
|
'2024 Korea ICT Expo in Japan' 참가 |
|
|
브이피피랩이 KOTRA가 주관하는 '2024 Korea ICT EXPO in Japan'에 출전했습니다.
📅 2024년 11월 7~8일
📍 일본 도쿄 시나가와 프린스 및 도쿄 TiB
"Korea ICT EXPO는 무엇인가요?"
Korea ICT EXPO는 국내 우수 ICT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KOTRA에서 추진하는 엑스포입니다. 올해로 19회를 맞이해 역대 최고 규모로 개최되어 현지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았어요.
특히 일본은 국가 차원의 DX(디지털전환) 가속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DX 시장 규모가 5년 내 3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ICT 기업에게는 중요한 시장인데요.
이 자리에서 국내외 ICT 기업 관계자 분들과 flow-V를 소개하며 글로벌 진출에 대해 논의할 수 있어서 더욱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
자세한 현장 스케치가 궁금하시다면 브이피피랩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세요 :) |
|
|
'제주지역 성장사다리 지원사업 성과전시회' 전시 |
|
|
제주산업발전포럼의 부대 행사로, JTP 기업지원단에서 추진해온 제주지역 성장사다리 지원사업 성과전시회에 브이피피랩의 성과물이 전시되었습니다. ✨
📅 2024년 11월 27일 오후 1시 30분
📍그랜드 하얏트 제주
해당 포럼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제주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제주테크노파크(제주TP) 등이 공동 주관하여 매년 개최되고 있는데요. 올해는 '에너지 대전환, 탄소중립 제주 2035'를 주제로 관련 기관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하여 성대하게 열렸습니다.
좋은 자리 마련해주신 제주 산업발전포럼 관계자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
|
|
앞서 소개해드린 제주 산업발전포럼에서 브이피피랩이 제주지역 주력육성사업의 우수 사례로 선정되어 "도지사상"을 수상했습니다! 🎉🎉
올해 제주 산업발전포럼에는 에너지 대전환 시대를 맞이해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제주 우수 기업들의 노하우 공유를 통해 후발기업들의 성공을 촉진하는 교류의 장이 열렸는데요.
성과발표회에서는 제주지역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 혁신성장하고 있는 브이피피랩 차병학 대표의 '에너지전환 성공사례' 발표도 있었습니다. |
|
|
브이피피랩이 산업통상자원부 '24년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수행을 위해 단독형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 및 운영할 계획입니다. 🔋
✅ 프로젝트 명: 제주 분산에너지/잉여전력 활용 VPP 기술기반 P2H/ESS 복합 시스템 구축
✅ 사업 기간: 2024년 5월 ~ 2024 12월(프로젝트 종료 후 5년간 운영)
ESS 발전소를 통해 소규모 재생에너지 분산자원에 ESS를 활용한 유연성을 제공하고, 전력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조절 및 제어함으로써 제주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ESS 발전소 완공은 12월 말에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
|
|
1. 한전, 배전망운영자(DSO) 출범...
전력망 유연성 강화
|
|
|
한국전력이 '배전망운영자(DSO)로서의 출범식'을 열고, 에너지경제연구원과 '배전망 유연자원 활성화를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한전은 배전망 Code, 장기배전계획, 전력망 감시 및 제어시스템 등 안정적인 배전망 운영을 위한 정책과 계획을 발표하고 배전망 운영자로서 역할 수행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다짐했는데요.
양 기관은 에너지저장시스템과 EV,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비증설투자대안 등 다양한 배전 유연성 자원을 연구하고 전력망대체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협력을 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출처: 에너지경제, 전지성 기자) |
|
|
2. 대전환기 맞은 전력 산업…
AC(교류) 아닌 DC(직류)가 대세
|
|
|
현재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은 AC(교류) 기반입니다.
하지만 최근 전력 환경 변화로 AC(교류)보다 DC(직류)가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AC 전력계통과 비교할 때 DC 전력계통은 주파수 안정도, 무효전력 및 AC 손실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으며 고객측의 효율성과 신뢰성 측면에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디지털 부하의 급격한 증가와 신재생 에너지원의 수요가 점차 커짐에 따라 DC 전력계통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추세인데요.
한국전력도 이같은 추세에 발맞춰 DC로의 대체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전은 현재의 배전 시스템을 AC에서 DC로 교체하는 MVDC/LVDC의 기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요.
미래전력 공급방식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전력 소비의 효율화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함으로써 국내 에너지 산업계의 신성장동력이 생겨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전기신문, 김부미 기자) |
|
|
3. 2050년 RE100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
|
|
|
한국에서 RE100 달성은 정말 불가능한 것일까요?
한국일보는 올해 5~7월 약 3개월 동안 RE100 달성에 꼭 필요한 국내 재생에너지의 잠재량, 전력 계통, 국내 발전원별 발전비용의 추세 등을 평가해 실제 국내에서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한 여건이 갖춰져 있는지 보여주었습니다.
해당 정보가 궁금하다면 원문을 통해 읽어보세요!
(출처: 한국일보, 이상무, 나주예, 신혜정 기자) |
|
|
(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330, A동 107호
(서울)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68, 팁스타운 S6 502호
|
|
|
|
tTo deliver clean, renewable energy when and where it's needed most. |
|
|
|